• 북마크

논문검색

도시재생에서 사회적 가치의 실천에 관한 소고

저자 : 조민경/장교식년도 : 2024년발행권및호 : 제105집
  • - 첨부파일 : 05.조민경,장교식-수정본20240223.pdf (800.9K) - 다운로드

본문

국문초록

 

다수의 시행착오를 거친 작금의 도시재생정책은 사회적 재생을 통해 지속가능성과 지역 활성화를 고민할 시기에 있다. 이에 따라서 도시재생사업 방향도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는 국가와 지역의 인구변화 및 환경에 따른 경제활동, 소비패턴의 변화와 요구를 적용하는 당위성의 문제이다. 도시와 지역 경쟁력 강화방안은 공간특성 회복을 통해 지역 재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 새로운 방안들은 지역의 재창조와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의 기본 의미와 목적에 부합해야 한다. 사회적 가치는 개방성과 민주성, 사회의 질, 형평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의 다양한 개념 위에서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 사회적 가치 관련 법안을 살펴보면, 사회적 가치법()은 아직도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그러나 ‘ESG 4공공기관운영법, 국가재정법, 국민연금법, 그리고 조달사업법20241월을 기준으로 모두 시행되고 있다. ‘ESG 4의 사회관련 공통항목은 평등과 다양성 추구이다. 사회적 가치의 특성은 공공성, 유동성, 협의성, 다양성으로 요약된다. 국내에서의 사회적 가치 개념 논의는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국민의 삶의 질 개선을 중심으로 국정운영 약속과 함께 시작되었다. 현재는 다양한 사회적 가치의 측정방법이 논의되고 있지만, 사회적 가치 측정을 위한 정형화, 표준화, 융통성 요구의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인공지능(AI)과 딥러닝을 통한 새로운 가치측정 방법론 개발이 준비되고 있다. 도시재생에서 사회적 가치 실천은 사회적 포용과 사회적 가치를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실천된다. 도시재생에서 사회적 가치 실천의 주체자는 사회적 자본인 지역인과 대상지의 이해관계자들이다. 사회적 가치 실천은 대상지 주민인 사회적 자본의 참여에 의해서 발현된다. 사회적 자본은 네트워크의 규모와 신뢰의 척도가 중요하다. 국내에서도 집합적 임팩트를 활용한 사회적 가치 실천방안을 새롭게 논의해 보기를 제안한다. 집합적 임팩트는 공동의 목표 구축과 협업, 그리고 연대를 통한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다. 이는 공유된 시스템, 상호보완이 강화된 활동과 지속적 의사소통 등을 기반으로 도시재생에 사회적 가치 실천의 현실화의 대안적 방법론이 될 것이다.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